🧠 LLM을 설계처럼 쓰는 법: 프롬프트 설계 전략
AI에게 원하는 답변을 제대로 받아내기 위해서는 단순한 “질문”이 아니라 설계된 요청이 필요합니다.
이번 글에서는 초보자도 따라할 수 있는 프롬프트 설계 전략을 구체적으로 소개합니다.
처음 AI를 접하는 20대 이상 사용자 분들께도 실용적인 가이드가 될 거예요.

🎯 1. 입력보다 출력이 먼저다: 결과부터 상상하라
프롬프트를 쓸 때 대부분의 사람은 “무엇을 물어볼까?”를 먼저 고민합니다.
하지만 그보다는 **“어떤 결과를 얻고 싶은가?”**를 먼저 떠올려야 해요.
예를 들어,
❌ “채소에 대한 글 써줘.”
✅ “초보 요리사를 위해 채소 보관법을 5가지로 정리해줘.”
이처럼 명확한 출력을 상상하면, AI도 정확한 답을 만들어냅니다.
✍️ 2. 구체화된 요청이 품질을 좌우한다
AI는 “어떤 식으로” 요청하느냐에 따라 완전히 다른 결과를 제공합니다.
예를 들어, “간단하게 써줘”, “이해하기 쉽게”, “사례를 포함해서” 같은 표현을 적극 활용하세요.
예시 프롬프트:
채소를 오래 보관하는 법에 대해 초보 요리사도 이해하기 쉬운 문장으로 설명해줘.
각 방법마다 예시를 포함해서 5가지로 나눠서 정리해줘.
프롬프트에 조건, 수량, 대상, 형식을 넣으면 정교한 응답을 유도할 수 있어요.
🪄 3. 반복을 두려워하지 말자: 리프레이즈 전략
AI는 한 번의 요청으로 완벽한 결과를 내기는 어렵습니다.
그래서 중요한 건 **“수정 요청”**과 “다시 표현하기(Rephrase)” 전략이에요.
예시:
•“더 짧고 간결하게 써줘”
•“중학생도 이해할 수 있게 바꿔줘”
•“한글 맞춤법 검사를 다시 해줘”
한 문장으로 끝내기보다는 “조정 → 개선 → 보완” 과정이 필요합니다.
🧰 4. 프롬프트는 재사용 가능한 도구다
잘 설계된 프롬프트는 일회용이 아니라, 템플릿처럼 반복 사용할 수 있습니다.
예시 템플릿:
너는 지금부터 [전문가 역할]야.
나는 [목표와 대상]을 위해 글을 쓰고 있어.
[주제]에 대해 [형식]으로 [톤]을 맞춰 작성해줘.
이 틀을 다양한 콘텐츠에 적용하면,
블로그, 기획서, 이메일, 설명서 등 다양한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어요.
📝 정리하자면…
전략 |
설명 |
---|---|
출력부터 상상하기 |
원하는 결과를 먼저 그리자 |
구체적인 조건 설정 |
수량, 형식, 대상, 예시 포함 |
반복 개선하기 |
Rephrase → Refine 전략 사용 |
템플릿화하기 |
유사한 작업에 재사용 가능 |
📢 다음 챕터 예고
다음은 실제 프롬프트를 사례별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알려드릴게요.
콘텐츠 기획, 마케팅, 스터디 요약 등 실제 사용 시나리오별 프롬프트 모음집을 소개합니다.
계속 읽고 싶으신가요? 😎